치매체크 앱 인공지능을 활용한 어플을 경기도에서 제공한다는 내용의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치매는 고령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로 초기에 증상을 발견하고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QR코드를 스캔하시면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매체크 앱으로 이동이 되십니다. QR코드 스캔이 안 되면 1688 4157로 전화를 거셔서 링크를 문자로 수신받아 링크를 통한 접속이 가능하십니다.
경기도와 부천시 치매안심센터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간편 치매체크 앱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경기 AI 간편 치매체크’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검사로 1분간 말하기를 통해 치매 위험도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검사 후 치매 안심 군이면 치매 예방수칙을 안내하고, 치매 위험군이면 거주 지역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도록 안내합니다.
또한 경기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이면 누구나 무료로 검사할 수 있으며, 총검사 시간은 3분 이내로 진행돼 편리성을 더합니다. 이용 방법은 전화(1668·4157)를 걸거나 홍보물의 QR코드를 통해 별도의 앱 설치 없이 간편하게 치매체크 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검사대상자 본인의 스마트기기가 아니더라도 가족이나 지인의 도움으로 검사할 수 있는 점도 장점입니다.
치매체크 앱 관련 문의 사항은 해당 시의 치매안심센터로 전화 걸어 물어보시기를 바랍니다.
치매체크 앱은 어르신 혼자서도 검사하실 수 있으십니다. 이 경우 본인 폰이면 당연히 좋고, 다른 사람 폰이어도 상관없습니다.
보호자가 동반해서 어르신 치매 검사를 할 경우는 보호자가 치매안심센터에서 파트너 코드를 발급받아야 하십니다. 그래서 파트너 코드를 어플에 입력한 후 치매 검사를 어르신이 받으실 수 있으십니다.
어르신 개인정보도 입력하셔야 하는데요. 거주지(자동)/이름/학력/나이/전화번호(직접 작성)/성별을 입력하셔야 하십니다. ※만 60세 이상이어야 검사할 수 있도록 어플에 설정되어 있습니다.
검사 전 핸드폰에서 마이크 확인 알림이 뜨면 ‘허용’을 반드시 눌러야 검사할 수 있으십니다.
제시하는 주제에 맞게 말하기 할 때는 조사는 빼고 단어만 말하셔야 하십니다.
ex) 사과도 있고(X), 사과 수박 배(O)
이렇게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매체크 앱으로 검사한 후 안심 군이면 치매 예방수칙을 안내하고요. 위험군이면 가까운 치매안심센터 방문을 안내합니다. 재검사는 2회까지 가능하고요. 그 이상은 재검사를 하실 수 없으십니다.
이상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치매체크 앱을 부천시에서 제공한다는 내용의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서비스 기간이 2024년 5월~7월이라고 합니다. 저렇게 좋은 어플을 왜 기간을 한정하고 제공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래도 서비스 내용이 내용인지라 2024년 7월 이후에는 검사하시려면 위에 안내한 전화번호(1688·4157)로 전화 거셔서 물어보시고 서비스할 수 있으면 이용하시기를 바랍니다.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