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목대비 와 광해군 의 악연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광해군은 조선의 제15대 왕입니다. 특징은 아버지가 선조이고, 임진왜란 때 분조를 이끌며 실질적으로 조선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잘했다는 것입니다. 그때 잘해서 서자이지만 왕이 되었습니다. 위의 그림이 선조의 가계도인데요. 보시는 것처럼 광해군은 왕후가 아니라 후궁의 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래서 서자이고요. 인목왕후가 인목대비인데요. 의인왕후가 돌아가시고 선조가 인목대비와 재혼한 것입니다. 인목대비는 광해군보다 9살 어리고요, 19살 때 선조와 결혼하였습니다. 그래서 인목대비 와 광해군 의 관계는 계모 즉 새엄마의 관계가 되겠습니다. 선조는 옹졸하고 못나서 잘하는 사람 싫어합니다. 그래서 이순신 장군님도 엄청나게 싫어했고요. 광해군도 임진왜..
동인 서인 나눠진 이유를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동인 서인이 나뉘면서 붕당정치가 시작되었습니다. 시기는 선조 시대인데요. 선조 이전의 중종, 인종, 명종 시대에는 척신 세력이 득세하는 등 권력자들이 사리사욕을 채우는 데 급급하며 정치를 하였습니다. 위의 그림은 동인의 대표주자 김효원과 서인의 대표주자 심의겸이 살던 곳을 안내하는 지도입니다. 선조 시대 초기과제는 척신정치(왕의 외삼촌 세력이 권력을 잡는 것) 폐해를 극복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서 선조의 이런 정치를 지지하고 참여하는 사림파가 등장합니다. 기존에 훈구파에서 사림파로 나라의 정치세력이 바뀝니다. 사림파가 정권을 잡고 조선을 어떻게 이끌어나갈지 생각을 하고 대화를 하였는데요. 사람마다 생각이 달랐습니다.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 각각 사림..
평양성 전투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평양성이란 영화가 있더라고요. 거기서 나오는 평양성 전투는 삼국시대에 나당연합군이 고구려 평양성을 공격할 때를 그린 줄거리고요. 이 포스트에서 말하는 평양성 전투는 임진왜란 당시 조명 연합군과 일본의 전투를 배경으로 기록하는 것입니다. 위의 위 그림은 평양성 전투를 그린 그림과, 위의 아래 그림은 평양성 전투 상황도입니다. 1592년 4월 13일 임진왜란이 발발합니다. 일본은 20만 대군을 동원해 조선을 치는데요. 그 이유는 조선의 신하 나라로서의 예의를 안 지키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을 거역했다는 것입니다.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명을 치러가게 조선은 길을 내라고 명을 했는데요. 조선이 거부한 것입니다. 물론 당시 조선은 일본의 신하 나라가 아니었습..
서애 유성룡 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서애 류성룡 은 임진왜란 당시 실질적인 총책임자로서 임진왜란을 진두지휘하였고요. 이순신 장군이 고속승진 할 수 있게 천거하신 분입니다. 서애 유성룡 은 이순신 장군뿐만 아니라 권율 장군도 천거해서 고속승진을 하게 하시는데요. 임진왜란 3대 대첩이 한산도 대첩(이순신 장군), 행주 대첩(권율 장군), 진주 대첩(김시민 장군)인데요. 저 중 2개가 서애 유성용이 천거하신 분이 이루어 낸 것입니다. 위의 그림은 서애 유성룡 초상화와(위 그림), 징비록 사진(아래 사진)입니다. 최근 한자 성을 한글로 표기 시 두음법칙 예외 인정이 되어서요. 서애 유성룡이라고도 표기하고, 서애 류성룡이라고도 표기합니다. 서애 유성룡 의 출생지는 의성이고요. 고향은 안동 하회마을..
허준 동의보감 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허준은 드라마에서처럼 천민 출신은 아니였습니다. 명문가의 서자 출신인데요. 어머니도 양반 서녀 출신입니다. 그래서 관직에 오를 수 있는 신분과,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허준 할아버지 허곤은 경상 우수사였고, 아버지인 허론은 용천부사였습니다. 무인 명문가였는데요. 나름 유력가 집안의 서자이었습니다. 위의 그림은 허준 모습(위 그림)과, 동의보감 모습(아래 사진)입니다. 허준의 첫 벼슬은 종 4품인데요. 보통 의원으로 장원급제를 해도 종 8품 시작이었는데 허준은 처음부터 종 4품의 벼슬을 하였습니다. 이는 과거급제로 벼슬에 들어간 게 아니라 특채로 관직을 해서 그런 것입니다. 나쁜 말로 하면 낙하산이고요. 조선 중기 학자인 유희춘 가족..
정유재란 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임진왜란은 1592년 4월 13일날 시작했는데요 임진왜란 당시 실제로 전투를 한 시간은 초기 1년 정도입니다. 그 이후에는 일본과 조선 명이 협상하는 기간이었는데요 그 이후 협상이 결렬되면서 일본이 다시 조선에 침공한 것이 정유재란입니다. 날짜는 1597년 1월 시작입니다. 흔히 임진왜란에 정유재란을 포함해서 말하기도 합니다. 위의 그림은 칠천량 전투 패배후 일본이 점령한 전라도 지역입니다. 임진왜란 정유재란 의 시작은 도요토미 히데요시라는 일본 사람입니다. 이 사람이 두 전쟁의 시작을 명령했는데요. 1차 침략 즉 임진왜란은 조선을 완전히 점령한 후 명나라로 진출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킨 것이고요. 2차 침입인 정유재란 은 조선의 경기, 충청, 전라, 경상의..
임진왜란 전개과정 중 초기 단계를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1592년 4월 13일 부산 앞바다에 일본 군인들을 실은 배들이 몰려옵니다 보고를 들은 부산진성은 이를 조공을 위해 온 배로 판단합니다. 당시 부산 첨사 정발은 절영도에서 사냥중이었는데요 일본 배가 온다는 보고를 받고 지켜봤는데 일본 배 700여 척이 새까맣게 오는 것이었습니다. 심상치 않은 것을 느낀 정발은 부산진성으로 들어가 전투준비를 합니다. 일본군은 당시 1만 8천여 명 정도였고, 부산진성에는 조선군 6백여 명이 지켰습니다. 부산진성은 북문, 동문, 서문, 남문 중 북문이 제일 취약했는데요 일본도 전투를 하면서 이를 알게 되고 북문을 통해 함락됩니다. 전투는 3시간 정도 지속되다 정발도 가슴에 조총을 맞고, 병사들도 전멸 상태인 이유..
정여립 기축옥사 사건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기축옥사 는 정여립이 주동하여 역모를 일으켰다는 사건입니다. 1589년 10월 선조 앞으로 정여립 이 주도하여 역모를 일으킬 것이라는 비밀편지가 옵니다. 이것을 본 선조가 정철을 총 책임자로 내세워 역모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1천여 명의 관련자들이 죽었습니다. 16세기 조선시대 4대 사화가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인데요 이때 총 죽은 사람이 500명 정도 되는데 4대 사화보다 2배 더 많이 죽은 사건이 정여립 기축옥사입니다. 위의 그림은 인터넷에서 정여립 이라고 떠도는 그림인데 진위여부는 모르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전라도 진안 죽도 사진입니다. 하지만 정철이 기축옥사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무기가 1점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또 이러타..
광해군의 업적을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광해군의 업적 중에서 임진왜란 당시광해군 업적입니다.조선시대에서 탑 급으로 무능한 왕인선조를 대신하여그가 어떻게 행동했는지 보겠습니다.광해군은 선조의 아들입니다. 1592년 6월 임진왜란 때문에 평안도 영변에피신해 있는 선조에게 왜가 대동강을 넘었다는소식이 들려옵니다.그래서 선조가 명나라로 피신을 가려고 하는데요.거의 모든 신하들이 반대합니다.당을 초월해서 거의 다 반대하는데요. 궁여지책으로 만든 선조 아이디어는분조(조정을 둘로 나누는 것)를 하자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분조를 하는데요. 선조는 피신을 가고 아들인 광해군을 조선에 남게하여 전쟁을 지휘하게 명령을 내립니다.당시 광해군 나이는 18살이었습니다.선조는 40대고요. 분조는 말 그대로 조정을 둘로 나누..
임진왜란 의병에 대해 알아보는포스팅을 하겠습니다.한민족의 저력 중에 하나인 의병들,그분들이 계시기에 조선을 지켜낼 수있었는데요.그 당시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알아보겠습니다. 순식간에 부산을 함락시킨 일본군은20여일만에 한양까지 진격합니다.관군들은 대부분 궤멸되거나도망가기 바빴는데요 선조도 한양을 버리고북쪽으로 도망가게 됩니다.이런 전쟁 흐름을 바꾼 것이의병들입니다. 기강, 정암진 전투가 바로 육지에서의 첫 승리한 전투인데요.의병들이 활약한 전투입니다.곽재우 장군이 활약한 의병군라고하네요. 곽재우 장군님은 홍의 장군으로 유명하신분인데요바로 저 붉은 무관 관복이, 곽재우 장군님아버지께서 명나라 사신으로 가셨다가명나라 황제에게 선물 받는 비단으로만드신 것이랍니다. 위의 지도는 당시 의병들이 일어났던곳들을 나타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