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26사태 박정희가 서거한 날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1979년 10월 26일 청와대 인근 궁정동 안가에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이 박정희를 권총으로 쏴 죽입니다. 안가라는 것은 safe house를 뜻하는 말로 한국어로 안전가옥이라 합니다. 안전가옥은 신변 보호가 필요한 사람을 위해 보안설비를 해 둔 주거시설입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안가가 몇 개 있었는데요. 그것의 존재 사실은 관련자 몇 명밖에 모를 정도로 극비사항이었습니다. 그중 궁정동 안가는 커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제일 애용하던 곳이었습니다. 위의 사진이 11시부터 시계방향으로 박정희, 김재규, 김계원, 차지철입니다. 궁정동 안가에서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차지철 경호실장, 김계원 비서실장..
정의구현사제단 탄생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우리나라가 민주화를 하는데 많은 공헌을 한 단체가 바로 정의구현사제단입니다. 박정희 시절에는 유신에 반대하는 활동을 해주셨고요. 전두환 시절에는 6.10 민주항쟁의 시작을 바로 정의구현사제단에서 했습니다. 이렇게 은혜를 많이 입고 있는 정의구현사제단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간단히 살펴보는 자리를 갖겠습니다. 위의 사진은 김수환 추기경 모습입니다. 천주교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올 때는 현실 문제에 가담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일제 강점기에 천주교가 들어왔는데요. 천주교와 일본이 교섭해서 종교와 정치는 구분한다고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종교대표자들로 이루어진 3.1운동 민족 33인에도 천주교 지도자는 없었습니다. 그러다 1962년~1965년 열은 ..
유신헌법 공포 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1972년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합니다. 탱크와 장갑차로 무장한 군인들이 서울을 점령하면서 유신체제가 시작됩니다. 위의 사진은 박정희 전 대통령 사진입니다. 유신(維新)의 뜻은 ‘낡은 제도를 고쳐서 새롭게 한다.’라는 뜻입니다. 중국 고전인 서경과 시경에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유신이란 단어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한 단어는 아닙니다. 이 단어가 유명해진 것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쇼와 유신 덕분입니다. 이런 단어를 박정희가 사용한 것입니다. 실제로 박정희는 메이지 유신을 “아세아의 경이요, 기적이 아닐 수 없다”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아래는 유신헌법의 내용입니다. 1. 유신헌법은 직접선거가 아니고 간접선거입니다. 투표를 국..
새마을 운동 시작 한 이유를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새마을 운동은 1970년부터 시작한 일종의 지역사회 개발 운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새마을 운동의 목표는 농촌의 환경 개선, 농가 소득 증가, 농촌 경제 발전입니다. 농촌에서 시작하여 중소도시와 공업 도시로 운동이 퍼져 나갔습니다. 1970년대에 새마을 운동과 결합해 혼분식 장려운동을 했는데요. 사람들이 쌀을 많이 먹어서 쌀이 모자라니 쌀 이외의 다른 곡식도 많이 먹자라는 운동입니다. 이때부터 분식이 발달했다고 합니다. 새마을 운동 시작 한 이유 1. 경상북도 청도의 영향 1969년에 수해가 되게 심했습니다. 그래서 박정희 대통령이 수해 지역을 시찰하기 위해 기차를 타고 갔는데요. 경상북도 청도읍 신도리에서 기차를 멈췄습니다. 당시 개천이 범람해..
한국 핵개발 역사적 사실들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한국은 박정희 전 대통령 시대에 핵개발을 추진했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방해로 실패했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은 핵미사일을 많은 나라가 갖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너도나도 핵무기가 있으면 어디선가 사고가 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위의 분이 이휘소 박사님입니다. 소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에 보면 이휘소 박사가 한국 핵개발을 기술적으로 주도한 것처럼 묘사되어 있는데요. 이휘소 박사는 한국 과학자 중 노벨상에 제일 근접했던 분이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휘소 박사는 민주주의가 아닌 독재를 하는 박정희 전 대통령은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남겨진 기록을 보면 한국에서 격려 삼아 대학원생들과 만나는 일조차 박정희 대통령 ..
3선 개헌 과정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1967년 5월 3일 박정희 대통령은 재선에 성공합니다. 이는 중임까지만 허용한 당시 헌법상 박정희의 마지막 임기였습니다. 하지만 박정희 대통령은 장기집권의 야욕을 품고 3선 개헌을 추진합니다. 당시 이런 박정희 대통령의 3선 개헌에 반대했던 사람이 있는데요. 그가 바로 2인자 김종필입니다. 위의 사진이 김종필 젊었을 때 모습입니다. 박정희의 세력 기반이 육사 8기입니다. 이 육사 8기의 핵심인물이 바로 김종필입니다. 김종필은 박정희의 쿠데타 때 브레인 역할을 하였고요. 중앙정보부와 민주공화당을 만들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5·16쿠데타에 성공하고 1962년에 개헌을 하는데요. 그때 대통령은 중임(2번)까지만 할 수 있다고 바꿨습니다. 그것을 장기집..
경부고속도로 개통 하는 동안 있었던 일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경부고속도로 개통을 처음 구상한 사람은 박정희 전 대통령입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64년 차관을 빌리기 위해 서독을 방문했는데요. 거기서 아우토반을 150km 이상 달리며 굉장히 마음에 들어 했습니다. 달리는 중간중간 내려서 얼굴을 땅 가까이 부쳐서 보는 등 아우토반을 유심히 관찰했다고 합니다. 위의 그림은 박정희 대통령 노트에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그린 고속도로 그림입니다. 저런 그림이 몇 장 있는데요. 연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고속도로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야기한 것은 1967년부터입니다. 3년 정도 고속도로에 대해 생각하고 연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고속도로 설계 전에 직접 그린..
한일협정 배상금 의 역사적 사실들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1965년 6월 22일 한일협정을 체결합니다. 한국과 일본이 14년간의 길고 긴 회담 끝에 협정을 체결한 것입니다. 국민과의 합의 없이 졸속으로 처리한 박정희 정권의 한일협정은 굴욕외교라는 비판과 함께 많은 국민의 분노를 하였습니다. 위의 사진은 한일협정 반대시위를 하는 모습입니다. 4·19 혁명 이후 가장 큰 시위였습니다. 체결 이후 지금까지도 한국과 일본 관계에서 걸림돌이 되는 한일협정입니다. 한국과 일본은 해방 이후 양국 간의 관계를 개선하여 서로 교류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었습니다. 한국과 일본이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전제되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일본의 식민지배 사과인데요. 한일협정에서는 이 부분이 없었습니다. 한일협정은..
516 군사 쿠데타 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1961년 5월 16일 새벽 서울에 탱크가 나타났습니다. 총을 든 군인들은 순식간에 서울 주요 기관을 점령하고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박정희 소장을 중심으로 한 군인들이 516 군사 쿠데타를 일으킨 것입니다. 516 군사 쿠데타는 박정희 소장을 중심으로 육사 5기, 8기 젊은 장교들이 제2공화국을 무너트리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입니다. 516 군사 쿠데타는 국군의 0.5%(약 3,400 ~ 3,600여 명)가 참여한 쿠데타입니다. 516 군사 쿠데타는 사전에 누설되었는데요. 미국 보고서에도 있고 당시는 내각책임제였는데 장면 총리에게도 여러 번 보고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장면 총리가 장도영 육군참모총장에게 조사해보라고 얘기를 했는데요. 육군참모총장이 ..
여순사건 요약 글을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여순사건은 여순반란사건이라고도 하는데요. 1948년 10월 19일 제주 4.3운동 진압 작전을 명령받은 여수의 14연대가 명령을 거부하고 반란을 한 사건입니다. 경찰과 우익인사를 살해하며 5시간 만에 여수를 장악한 군인들은 다음날 순천까지 장악합니다. 그래서 일단 4.3운동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여순사건으로 민간인들이 오른쪽에 빨갱이로 분류되면 죽거나 처벌받게 되었습니다. 1947년 3월 1일 제주에서 3.1절 기념행사를 하는데요. 30,000명가량의 군중이 모였습니다. 거기서 기마경찰이 탄 말에 어린아이가 차이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경찰은 그것을 모른 척 지나가는데요. 군중들은 분노합니다. 사과를 요구하며 주민들이 경찰서로 몰려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