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핀 현황에 대해 알아봅시다

테크핀 현황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독자님들 핀테크라는 말은 요즘 많이 들으셨을 것입니다. 핀테크(Fintech)란? 금융(Financial) + 기술(Techonlogy) 라는 말의 합성어로써 금융회사가 IT 기술을 접목해 만든 새로운 유형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뜻합니다. 즉 금융 서비스와 IT 기술이 모두 있지만, 금융에 중요도가 더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테크핀은 핀테크를 거꾸로 한 말로써 IT 기술과 금융 서비스가 모두 있지만 IT 기술에 중요도가 더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핀테크와 테크핀을 구분한 표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핀테크(Fintech)

테크핀(Techfin)

주력업계

금융

IT

경쟁력

금융 노하우, 높은 신뢰도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IT 기술

사용자 범위

금융 서비스 사용자

플랫폼 사용자

IT 인프라

주로 아웃소싱

자체 보유

특징

금융 서비스를 웹 또는 모바일을 통해 제공

모바일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다양한 형태의 금융 서비스 제공

데이터 범위

금융 서비스 관련 데이터

플랫폼을 통한 광범위한 사용자 데이터

기업명(예시)

쏠페이(신한은), 하나원큐(하나은행), KB스타뱅킹(KB국민은행), NH 스마트뱅킹(NH농협은행)

카카오페이(카카오), 네이버페이(네이버), 삼성페이(삼성), 페이코(NHN), 위챗페이(텐센트), 페이팔(이베이)

 

 

테크핀은 핀테크에 비해 금융보다 기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중요 사항입니다. 테크핀의 간편결제 시스템이 대중화되면서 온라인 결제가 더욱 편리해졌습니다. 테크핀을 주도한 대표적 글로벌 기업은 애플,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을 꼽는데, 이들은 모두 온라인, 모바일, SNS 전자상거래 사업으로 시작해 기존의 플랫폼과 많은 고객,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융업에 진출하였습니다. 그 외에 한국에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SSG 페이 등이 있습니다.

 

간편송금은 우리에게 모두 친숙한 테크핀 기술입니다. 기존 금융회사가 제공하던 인터넷 뱅킹이나 모바일 뱅킹과 다르게 계좌번호나 공인인증서 없이 간편하게 송금을 할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나, 카카오톡, SNS에 등록한 친구에게 단순한 정보를 기반으로 송금할 수 있는 간편송금은 토스가 대표적입니다. 토스와 같은 간편송금 서비스의 하루평균이용금액은 3,226억 원으로 전기 대비 20.3% 증가했습니다.

 

테크핀은 금융투자와 자산관리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은행 계좌 정보를 한 번엔 통합해서 관리해줄 뿐만 아니라, 수입과 지출의 흐름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 민트, 브로콜리 등이 있습니다. 또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자산을 관리해주는 인공지능 로보어드바이저도 테크핀 기술을 통해 등장했습니다. 자산관리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우리은행의 우리로보알파, 국민은행의 케이봇쌤, 신한은행의 쏠리치, 하나은행의 하이로보 등이 대표적입니다.

 

한국은행의 발표에 의하면 2020년 1월~6월까지 하루 평균 ‘oo페이’로 일컬어지는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금액은 2,139억 원에 이릅니다. 간편결제는 신용카드 등 지급카드의 정보를 스마트폰에 미리 입력해두고 거래 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단말기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결제하는 서비스를 뜻합니다.

 

한국에서는 대표적인 모바일 페이인 삼성전자의 간편결제 서비스인 삼성페이는 2019년 4월 누적 결제액 40조를 넘어섰습니다.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는 각각 현재 3,000만 명이 넘는 이용자를 확보했으며, 스마일페이의 누적 가입자도 1,500만 명에 달합니다.

 

한국은행은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온라인 쇼핑이 늘면서 간편결제를 비롯한 전자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의 영향으로 생활용품, 식품, 음식 배달의 거래가 급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카드사를 중심으로 한 금융권은 다양한 간편결제 서비스를 내놓고 있습니다. 카드사들이 앞다퉈 간편결제 관련 서비스를 강화하는 것은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IT 기반의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는 간편결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삼성카드는 스타벅스코리아와 협업해 드라이브스루 매장에서 비대면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하였습니다. 스타벅스 앱에 차량번호와 삼성카드를 등록하면 매장 주문 시 자동결제 됩니다. 고객이 매장을 방문하면 자동으로 고객의 정보와 카드를 인식하고 음료를 주문하면 자동결제가 되는 것입니다.

 

신한카드는 신한페이판(PayFAN) 내에 터치 결제를 목소리로 이용하는 보이스 터치 결제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삼성전자(AI) 플랫폼인 빅스비(Bixby)와 연동해 음성으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신용카드사가 최초로 개발한 간편결제 서비스로 스마트폰만 있으면 실물 카드 없이 모든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KB국민카드는 조만간 선보일 KB페이를 통해 온라인 간편결제 서비스 시장에 진출합니다. KB페이는 카드, 은행, 증권, 보험 등 전 계열사를 아우르는 간편결제 플랫폼입니다. KB페이는 결제는 물론, 선불카드 기능에 상품권, 포인트, 계좌등록 결제 등 간편결제 관련된 대부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국내외 송금 서비스와 외환 환전 등도 할 수 있습니다.

 

NH농협카드는 간편결제 서비스 올 원 결제(앱카드)의 전면 개편을 통해 280만 개의 전 카드 가맹점에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하도록 올원터치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습니다.

 

카카오페이는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를 카카오페이에 등록하면,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물 카드 없이도 모바일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는 최근 오프라인 서비스 확대에 치중하는 한편, 간편결제 서비스와 관련된 부정 결제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고도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하나은행은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종교단체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 은행 최초로 하나원큐 모바일 헌금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이 서비스는 별도의 앱을 설치할 필요 없이 문자나 교회 홈페이지, QR코드, NFC 방식을 이용해 현금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고, 간편 비밀번호를 이용해 종교단체별 전용 모바일 헌금에 접속해 헌금할 수 있습니다.

 

SBI 저축은행은 저축은행 최초로 2020년 6월 네이버페이와 전자 금융결제 제휴를 맺었습니다. 이에 따라 네이버페이와 사이다뱅크 계좌를 등록하면 간편결제와 송금, 네이버페이 포인트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관세청은 납세자의 납부 편의를 높이기 위해 한국형 전자 통관시스템인 유니패스에 간편결제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이번 간편결제 서비스 시행으로, 개인 납세자는 스마트폰으로 고지서를 받아보고 간편결제로 납부하는 한층 편리한 납부 서비스가 가능해졌습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내비게이션 터치만으로 주유소 등에서 자동결제가 가능한 간편결제 시스템(ICPA, In Car Payment System) ‘카페이’ 적용 차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아반떼, 쏘나타, 그랜저, 팰리세이드, 싼타페, 아이오닉, 코나(하이브리드, 전기만 가능) 등 총 14종의 차량에서 ‘현대 카페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차종을 확대하였습니다. 기아차도 모닝, K7, K5, 쏘울, 니로, 쏘렌토, 셀토스, 모하비, 카니발 등 파워 트레인에 따라 총 14종의 차량에서 ‘기아 페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제네시스는 G80, GV80, G70 등에서 ‘제네시스 페이’를 지원합니다. 카페이는 현대카드, 현대오토에버 등 현대차 그룹 계열사와 협업해 만든 차량 내 간편결제 시스템입니다.

 

이상 테크핀 현황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갈수록 돈을 쓰기 편해지게 변합니다. 돈 벌기는 어려운데 쓰기는 정말 편합니다. 그렇다고 과소비는 금물이고요. 저축 잘하시기를 바랍니다. 부자 되세요.

 

반응형
그리드형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