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2050 관련 기업들 통계를 살펴봅시다

탄소중립 2050 관련 기업들 통계를 살펴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국내기업들은 탄소중립 2050을 어렵지만 가야 할 길로 보면서도 당장은 기회보다 위기 요인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중인 기업(총 684개 사 중 응답한 기업은 403개 사)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2050에 대한 대응 실태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7.3%가 탄소중립 2050을 ‘어렵지만 가야 할 길’로 평가하였습니다. 이에 비해 ‘현실적으로 탄소중립은 어렵다’라는 기업도 43.7%나 되었습니다.

 

 

탄소중립(net zero)은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온실가스 순 배출(배출량 – 흡수량)을 ‘0’으로 하겠다는 목표입니다. 일본과 EU가 2050년,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선언했고 미국 바이든 정부 역시 출범하면서 탄소중립을 공언한 상황입니다. 2020년 한국은 10월에 탄소중립 2050 목표를 선언하였습니다.

 

 

탄소중립이 피할 수 없는 길이지만 당장은 기회보다 위기 요인으로 보는 기업이 많습니다. 탄소중립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쟁력 약화 위기’(59.3%) 또는 ‘업종 존속 위기’(14.9%)라고 응답한 기업이 74.2%를 차지했습니다. ‘경쟁력 강화 기회’라고 보는 기업은 25.8%에 그쳤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64.8%는 탄소중립 정책에 ‘대응 중’(31%) 또는 ‘대응계획 중’(33.8%)이라고 대답했습니다. 35.2%는 ‘대응하지 못한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탄소중립 대응에 나선 기업은 그 이유로 규제를 꼽았는데 ‘현재의 규제’(39%) 또는 ‘규제강화 대비’(21.7%)가 60.7%를 차지했습니다. ‘ESG 실천’(16.9%) ‘경쟁력 강화’(12.5%), ‘공급망 등의 요구’(5.2%) ‘기후 위기 대응 동참’(2.9%) 등 적극적 이유로 대응한다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대응 내용으로는 ‘사업장 내 온실가스 감축 투자’(75.5%)가 대부분이었으며 이외 ‘RE100 등 이니셔티브 참여’(9.3%)(RE100: Renewable Energy 100 : 기업들이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약속하는 캠페인으로 현재 구글, 애플, 아마존, BMW 등 290여 개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LG화학, SK 아모레퍼시픽 등이 선언하였습니다) ‘외부감축 사업 추진’(7.6%), ‘탈 탄소 기술개발 참여’(7.2%)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아직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은 ‘비용 부담’(41.7%), ‘감축 방법 부재’(31.3%), ‘우선순위에서 밀림’(22.2%) 순으로 이유를 들었습니다.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발전 수송 부문과 달리 산업 부문은 아직 탈 탄소 혁신기술이 개발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탄소제로가 최종목표이지만 현재는 점차 강화되는 온실가스 규제에 대응하는 수준”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습니다.

 

 

기업들은 탄소중립 2050을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과제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생산기술’(24.8%), 을 가장 많이 꼽은 가운데 ‘공정가스 대체 감축 기술’(22.5%),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22.2%), ‘자원순환 기술’(17.5%), ‘탄소 포집 활용 저장(CCUS) 기술’(13%)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 2050을 위해 시급한 정책과제로 ‘감축 투자 지원’(36.7%)과 ‘탈 탄소 혁신기술 개발’(31%) 을 요청한 기업이 많았고, 이어 ‘재생 수소에너지 공급 인프라 구축’(15.1%), ‘법제도 합리화’(11.2%), ‘협력 네트워크 구축’(5%) 등의 순으로 응답했습니다.

 

한편 EU와 미국에서 도입을 추진 중인 탄소 국경세가 시행되면 73.7%의 기업이 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탄소 국경세는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느슨한 국가에서 생산한 상품을 규제가 강한 국가로 수출할 때 탄소 비용만큼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입니다.

 

김녹영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 센터장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 우리 기업들은 탄소중립 2050을 불가피한 과제로 인식하면서도 현실적인 탄소 감축 어려움과 기업경영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탄소중립을 현실화할 수 있는 길은 신재생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탈 탄소 혁신기술에 있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기술개발 지원과 함께 산업계와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이상 탄소중립 2050 관련 기업들 통계를 살펴보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저는 ‘탄소중립 2050’이라고 썼지만 ‘2050 탄소중립’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은 반드시 이루어내야 합니다. 힘들더라도 서로 협력하여 이루어냅니다 파이팅!!

 

반응형
그리드형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