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피부 제대로 만드는 법을 소개하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인조피부는 로봇에 사용하는 인조피부입니다. 인조피부를 만드는 이유는 굉장히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의료용으로도 만들고, 교육용으로 만들고, 문화 예술적인 이유(분장을 위해)로도 만들기도 합니다. 그중에서 사람처럼 로봇이 물건을 잘 집기 위한 행동에 초점을 둔 인조피부 만드는 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위에 보이시는 것이 3층 구조 인조피부인데요. 사람이 손으로 물건을 잡을 때 물건을 잘 잡는 메커니즘과 똑같이 만들어서 물건을 안정적으로 잘 잡는다고 합니다. 기존의 단층 구조 인공피부는 표피층만을 모사했기 때문에 물건을 집거나, 조작하는 게 어려웠습니다. 반명 3층 구조의 인공피부는 마치 사람이 집어 들어 올린 것처럼 핸드폰 같은 물건..
조선시대 과학자 독립운동가 이상설 선생을 소개하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이상설 선생은(1870~1917년) 으로 조선의 마지막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관리가 되신 분입니다. 그리고 고종이 외교권은 조선에 있음을 만국에 알리기 위해 보낸 헤이그 특사 3인 중 한 분인 분입니다. 위의 사진은 헤이그 특사 3인의 사진인데요. 빨간색 원이 조선시대 과학자 이상설 선생입니다.이상설 선생은 우리가 일제 제국주의에 맞서기 위해서는 과학과 기술로 무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셨습니다. 그래서 스스로 식물학, 화학, 물리학을 공부하신 조선시대 과학자입니다. 이런 공부를 하다 보니까 과학의 근본 언어가 있다. 그것이 바로 수학이라는 것을 깨달으셨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강해지기 위해서 과학을 해야 하고, 과학을 하기 위해서는 ..
채광석 캐는 법을 소개하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광업이 발달한 나라는 아닙니다. 대부분의 광물은 수입에 의존하는데요. 이것은 돈도 돈이지만 자원 외교에서 안 좋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원을 수출하는 나라에서 여러 이유로 우리나라에 광물을 안 판다고 하면 당장 앞이 막막하게 되거든요. 우리나라 채광석 중 그래도 제일 많이 묻힌 종류는 석회석 종류입니다. 그다음 철도 약간 묻혀 있는데요. 이런 채광석을 캐는 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위의 사진은 철광석 광산의 모습입니다. 저것은 겉에서 보이는 모습이고요. 실제 광산은 지하 몇 km씩 내려가면 있습니다. 저기서 탑처럼 높게 만든 구조물이 바로 채광석을 캐고 한 번에 지상으로 올릴 수 있는 장비입니다. 엘리베이터처럼 채광한 광석을 지상까지 한..
mbti 약자 뜻 사례 등을 소개하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mbti는 성격검사인데요. 자신의 성격이 어떤지 혹은 다른 사람의 성격은 어떤지 검사하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성격검사를 하고 1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자신의 성격 혹은 다른 사람의 성격을 분류하는 방식입니다. 위의 오른쪽이 이사벨 마이어스이고, 왼쪽이 캐서린 브릭스입니다. 모녀 관계인데요. 1900년대 저 두 분이 같이 mbti를 만들었습니다. mbti 약자는 풀어쓰면 Myer-Briggs Type Indicator입니다. 미국의 이사벨 마이어스와 브릭스가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유형검사입니다. mbti 약자를 보면 알 수 있는 것처럼 마이어스의 M과 브릭스의 B를 따서 MBTI로 이름 지은 것입니다. 두 모녀는 프로이트의 제자로 유명한 스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