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현황 통계를 살펴봅시다 -2021년 발표-

다문화가정 현황 통계를 살펴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2021년 발표 통계로 2020년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한 통계입니다. 다문화 인구란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정의를 준용하여 한국인과 결혼이민자 및 귀화, 인지에 의한 한국 국적 취득자로 이루어진 가족의 구성원을 의미합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다문화 혼인 비중(왼쪽)과 다문화 혼인 유형별 비중입니다.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의 비중은 7.6%로 전년 대비 2.7%P 감소했습니다. 다문화 혼인의 유형은 외국인 아내(66.4%), 외국인 남편(18.7%), 귀화자(14.9%) 순입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평균 초혼 나이(왼쪽)와 부부 연령차 비중(오른쪽)입니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초혼 나이는 36세이고, 아내는 29.2세로 전년 대비 남편은 0.8세 감소, 아내는 0.8세 증가했습니다. 다문화 혼인 부부의 연령차는 남편 연상 부부가 75.7%로 가장 많고,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부부는 34.2%로 전년 대비 7.8%P 감소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아내의 주요 국적별 혼인 건수 추이입니다.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과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23.5%) > 중국(21.7%) > 태국(10.7%) 순입니다. 전년 대비 베트남의 비중은 6.9%P 감소, 중국과 태국의 비중은 각각 1.4%P, 2.4%P 증가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다문화 이혼 건수와 다문화 이혼 유형별 비중입니다.

전체 이혼 중 다문화 이혼의 비중은 8.2%, 전년 대비 0.7%P 감소했습니다. 다문화 이혼의 유형은 외국인 아내(48.1%), 귀화자(36.7%), 외국인 남편(15.2%) 순입니다. 전년 대비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은 1%P 증가, 귀화자, 외국인 남편은 각각 0.6%P, 0.4%P 감소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평균 이혼 나이()와 결혼생활 지속기간()입니다.

다문화 이혼을 한 남편의 평균 이혼 나이는 49.9, 아내는 40.1세로 남녀 모두 전년 대비 0.2세 증가했습니다. 다문화 이혼을 한 부부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8.9년으로 2010년 대비 4.2년 증가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아내의 주요 국적별 이혼 건수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다문화 이혼을 한 외국인과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은 중국(34.9%) > 베트남(28.6%) > 필리핀(4.2%) 순입니다. 전년 대비 중국의 비중은 2.9%P 감소, 베트남과 필리핀의 비중은 각각 2.1%P, 0.3%P 증가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다문화 출생아 수 추이()와 다문화 출생 유형별 비중()입니다.

전체 출생 중 다문화 출생의 비중은 6%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습니다. 다문화 출생의 유형은 외국인 모(67%), 귀화자(19.9%), 외국인 부(13.2%) 순입니다. 전년 대비 외국인 모는 28%P 증가했고, 외국인 부와 귀화자는 각각 0.2%P, 24%P 감소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평균 출산 나이()와 모의 나이별 출산 비중()입니다.

다문화 출생을 한 모의 출산 나이는 30.7세로 2010년 대비 2.7세 증가했습니다. 다문화 모의 나이별 출산은 30대 초반이 33.4%로 가장 많고, 20대 후반 24.9%, 30대 후반 19.3% 순입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모(母)의 주요 국적별 출생 추이입니다.

다문화 출생을 한 외국인과 귀화자 모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38.8%) > 중국(17.7%) > 필리핀(6%) 순입니다. 전년 대비 베트남 비중은 6%P 증가, 중국과 필리핀은 각각 2.2%P, 0.1%P 감소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연령대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경우 45세 이상의 비중이 28.6%로 가장 많고, 30대 초반(19.4%), 30대 후반(17.9%) 순으로 많습니다. 전년 대비 30대 후반 이상의 비중은 감소했지만, 20대와 30대 초반의 비중은 증가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다문화 혼인을 한 여성의 연령대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다문화 혼인을 한 아내의 경우 20대 후반이 26%로 가장 많고 > 30대 초반(24.5%) > 20대 초반(14.6%) 순으로 많았습니다. 20대 초반 이하의 비중은 감소, 20대 후반 이상이 비중은 증가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다문화가정의 평균 혼인 나이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초혼 나이는 36세로 전년 대비 0.8세 감소, 아내의 평균 초혼 나이는 29.2세로 전년보다 0.8세 증가했습니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녀 간의 평균 초혼 연령차이는 6.8세로 전년보다 1.6세 감소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부부 연령차별 비중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연령차는 10세 이상 남편 연상이 34.2%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문화 혼인에서 남편 연상 부부가 75.7%로 가장 많고, 아내 연상이 18.1%, 동갑이 6.2%를 차지했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지역별 다문화 혼인 비율을 나타낸 지도입니다.

다문화 혼인 건수는 경기도(4,771) > 서울(3,482) > 인천(979) 순으로 많았습니다. 다문화 혼인 건수는 전년 대비 모든 시도에서 감소했습니다. 코로나 19시기라 국제적으로 교류하기 힘들어 다문화 혼인이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각 지역별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충남(9%) > 제주(8.8%) 순입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다문화 이혼 건수와 전체 이혼 중 다문화 비중 추이입니다.

2020년 다문화 이혼은 8,685건으로 전년보다 12%(1,183) 감소했습니다. 2020년 전체 이혼(107천 건)이 전년보다 3.9% 감소한 데 비해, 다문화 이혼은 12%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감소 폭이 컸으며, 2012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입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결혼생활 지속기간별 비중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평균 결혼생활 지속기간은 8.9년으로 20104.7년 대비 4.2년 증가했습니다. 다문화 이혼을 한 부부의 결혼생활 지속기간은 5년 미만이 33.9%로 가장 많고, 5년 이상 ~ 10년 미만(26%), 10년 이상 ~ 15년 미만(25%) 순으로 많았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이혼종류별 비중을 나타낸 것입니다.

다문화 이혼 중 협의이혼 비중은 55.1%, 재판 이혼은 44.9%를 차지했습니다. 한국인 간의 협의이혼 비중(80.7%)보다 25.6% 낮은 것입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지역별 다문화 이혼 비중을 나타낸 지도입니다.

다문화 이혼 비중은 전남 > 제주> 서울 순으로 높고, 세종, 대구는 낮았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출신 국적별 이혼 비중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다문화 이혼을 한 외국 출신의 남편 국적은 중국(12.8%) > 일본(3.9%) > 미국(2.9%) 순으로 많았습니다. 다문화 이혼을 한 외국 출신의 아내 국적은 중국(34.9%) > 베트남(28.6%) > 필리핀(4.2%) 순으로 많았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다문화 출생아 수 및 전체 출생 중 다문화 비중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2020년 다문화 출생아는 16,421명으로 전년(17,939)보다 1,518(-8.5%) 감소했습니다. 2020년 전체 출생이 272천 명으로 전년보다 10% 감소한 데 비해, 다문화 부모의 출생아는 8.5%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감소 폭이 작습니다.

 

 

위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출생아 부모의 출신 국적별 비중입니다.

외국 출신 부()의 국적은 중국(7%) > 미국(4.8%) > 베트남(3.6%) 순으로 높았습니다. 외국 출신 모()의 국적은 베트남(38.8%) > 중국(17.7%) > 필리핀(6%) 순으로 높습니다.

 

이상 다문화가정 현황을 살펴보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신 분들은 통계청에 자료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시겠습니다. 행복하세요!!

 
 
아래는 다문화 가정 현황 통계 2022년 발표 버전입니다.(위의 글은 2021년 버전)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